블로그나 티스토리 글을 작성할 때 키워드는 매우 중요합니다.
키워드에 따라 블로그로 유입되는 조회수가 많이 차이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블로그에 유입률이 많다면 모바일이나 PC의 유입률을 비교하고 검색량 대비 문서수를 비교해서 검색량 대비 문서 수가 현저하게 적은 경쟁력 키워드를 찾으셔야 합니다.
키워드 조회 검색량 > 문서 수
키워드 검색량 조회하는 사이트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1. 키워드 마스터 ( whereispost.com/keyword/)
원하는 키워드를 검색하면 PC 검색량, 모바일 검색량, 총 조회수, 문서수, 비율 (문서수 / 총 조회수) , 블로그 순위의 결과가 보입니다.
PC 검색량: 키워드를 PC에서 검색한 량
모바일 검색량: 휴대폰에서 키워드를 검색한 량
총 조회수: PC 검색량 + 모바일 검색량의 총합
문서수: 키워드로 등록된 문서수
비율 : 키워드 조회수 대비 등록된 문서수 비율 ( 문서수 / 총 조회수) ** 비율이 낮을수록 키워드 경쟁력이 좋습니다.
블로그 순위: 키워드로 등록된 블로그 순위이며 아이콘을 누르면 해당 사이트로 접속해서 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글의 작성방식 등을 벤치마킹하신 후 참고하셔서 작성하시면 좋습니다.
2. 블랙 키위 (blackkiwi.net/ )
블랙 키위도 매우 유명한 키워드 조회 분석 사이트입니다.
키워드 최초 등장일 : 키워드가 처음으로 검색된 날짜입니다.
키워드 등급 : 키워드 등급은 키워드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한 블랙키위만의 지표이며, 콘텐츠 상위 노출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되는 6개의 항목 (월간 검색량, 콘텐츠 발행량, 섹션 배치 순서, 검색량 상승/하락 퍼센티지, 포화 지수, 월별 검색 비율)에 개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합니다. 이후 산출된 점수를 기반으로 15단계(S+ ~ D-)의 등급을 설정하며, S+에 가까워질수록 상위 노출에 유리합니다.
월간 검색량: 최근 한달간 PC, 모바일 등에서 검색된 량입니다.
월간 콘텐츠 발행량: 최근 한달간 PC, 모바일 등에서 등록된 문서수입니다.
1월 예상 검색량: 이번 달 현재까지의 검색량과 통계를 기반으로 추측한 1월 31일까지의 예상 검색량입니다.
콘텐츠 포화 지수: 콘텐츠 포화지수는 키워드에 대한 관련 콘텐츠(블로그, 카페, VIEW)의 포화 정도를 나타내는 블랙키위만의 지표입니다. 포화 지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산출합니다. 예를 들어 에펠탑이라는 키워드의 월간 검색량이 2,000이고 월간 콘텐츠 발행량(블로그, 카페, VIEW)이 150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월간 콘텐츠 발행량(150)에 월간 검색량(2000)을 나누어 월간 검색량에 대한 콘텐츠 발행량의 비율을 구합니다. 150 ÷ 2000 * 100 = 7.5(%) 위 비율을 아래 기준에 대입하여 포화 지수를 구합니다. 비율이 낮은수록 좋은 키워드입니다.
50% 이상 | 매우 높음 |
30% ~ 49.9% | 높음 |
10% ~ 29.9% | 보통 |
5% ~ 9.9% | 낮음 |
5% 미만 | 매우 낮음 |
에펠탑의 포화 지수는 낮음입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의 관심에 비해 관련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매우 높음의 경우 관련 콘텐츠가 포화 상태임을 의미합니다.
연관 키워드: 검색한 키워드와 관련성이 높은 키워드 20개를 추출 및 비교하였습니다.
최근 한 달/ 일 년 검색 동향 및 비율을 그래프로 표시해서 훨씬 비교 분석하기 좋습니다.
또한 키워드가 어느 섹션( 블로그 , view, 뉴스 등)에 위치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블로그에 작성하시려면 블로그나 view 탭에 등록된 순서가 상위에 있다면 그 키워드는 사람들이 먼저 클릭해볼 확률이 높은 좋은 키워드입니다.
3. 네이버 데이터랩 (https://datalab.naver.com/ )
네이버 검색 트렌드 및 급상승 검색어 이력, 쇼핑 카테고리별 검색 트렌드를 제공해주는 사이트입니다.
연령별 , 카테고리별, 지역별 조회가 가능하며 표 및 그래프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훨씬 쉽게 비교 분석하실 수 있습니다.
4. 구글 트렌드 (trends.google.co.kr/trends/?geo=KR)
전 세계를 대상으로 키워드의 트렌드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연도별 트렌드 단어를 알 수 있으며, 최근 인기 검색어도 알 수 있습니다.
5. 키워드의 단가를 알 수 있는 네이버 광고 (manage.searchad.naver.com/)business.naver.com/service.html)
네이버 검색광고를 통해 검색어 단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을 별도로 하셔야 사용 가능하며 단가가 비싼 단가를 찾아서 블로그 글을 쓴다면, 이와 유사한 광고가 배치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6. 구글 애드센스의 키워드 단가를 알 수 있는 구글 애즈 (ads.google.com/)
구글 애드센스의 키워드의 단가를 알 수 있는 구글 애즈입니다. 회원가입을 한 후 사용 가능합니다.
블로그에 글을 쓸 때 단가가 높은 키워들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구글 애즈 회원 가입하는 방법 게시물을 함께 링크해 놓겠습니다.
[편리하고 스마트한 삶/프로그램 사용법] - 구글애즈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키워드 조회수 및 입찰단가 알수 있는 곳
구글애즈 -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키워드 조회수 및 입찰단가 알수 있는 곳
티스토리 승인을 받고 글을 써서 게시를 해도 광고 클릭수가 없어서 어떻게 방문자를 늘리고 어떤 키워드를 쓰면서 광고 클릭을 늘려야 할지, 어떤 키워드를 써야 광고단가가 높을지 등등 다양
pinkjellyshl.tistory.com
'편리하고 스마트한 삶 > IT 기기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작권 걱정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작사 작곡 AI 음악 프로그램 (0) | 2024.07.24 |
---|---|
맥 Mac 컴퓨터 드롭박스 온라인으로 용량 늘리는 방법 (1) | 2022.07.23 |
맥북 패러럴즈로 맥에서 윈도우 사용하는 방법 (0) | 2021.04.21 |
블루투스 스피커 연결하기 (0) | 2020.10.01 |
아이패드 스크린샷 하는 방법 (0) | 2020.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