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서비스 이용권 , 전자바우처는?
사회서비스 전자 바우처는 수요자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직접 선택하여 질좋은 서비스를 추구하도록 고안된 방식입니다. 지역사회서비스의 개발, 심사, 관리, 점검을 지자체에 부여하여 지역의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하고 발전시키고 재정의 효율성을 높이 고자 합니다.
사업기간은?
매년 1월 1일 부터 12월 31일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업은 어떤 절차로 이루어지나요?
보건복지부에서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을 구축 및 관리하고 사회보장정보원에서 바우처 비용을 지급하고 정산합니다. 시/도에서는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을 총괄관리하게 됩니다.
어떻게 사용하나요?
이용자는 정부지원금을 직접주는 현금이나 물건이 아니라 이용자가 직접 사회서비스를 받고 이를 전자바우처를 통해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전자바우처를 이용하기 원하는 사람은 읍/면/동에 직접 신청하면 -> 시/군/구에서 소득 및 조건에 맞는지 조사후 이용자를 선정하게 됩니다. 이용자로 선정되면 국민행복카드를 금융기관 등에서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카드를 발급받으시면 제공기관을 선택하여 계약을하고 제공기관 서비스를 받으실 때마다 바우처 결제를 하시면 됩니다.
국민행복카드는 어떻게 발급받나요?
국민행복카드는 신용, 체크기능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국가가 제공하는 다양한 바우처 서비스를 한장의 카드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드 발급기관은 BC 카드(IBK 기업은행, NH농협, SC제일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수협은행, 우리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우체국), 롯데카드, 삼성카드 인데요. 카드사를 직접방문하거나 홈페이지 또는 해당 영업점 콜센터를 통해 신청하시는 방법, 또는 읍면동에서 사회서비스 신청시 함께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단, 신용불량이나 계좌개설의 어려움이있을 경우 사회서비스 전용카드를 발급받으셔도 되는데요, 사회서비스 전용카드의 경우에는 사회보장정보원이 발급하게 됩니다. 사회서비스 바우처카드를 직접 발급받으시려면 읍면동에서 사회서비스를 신청하실때, 함께 신청하시면 됩니다.
발급 대상은 어떻게 되나요?
바우처 서비스를 받는 사람 뿐만아니라 국민누구나 발급은 가능하지만 사회서비스 혜택을 받기위해서는 바우처 사업별로 해당 조건에 맞으셔야 합니다. 단 은행별로 구비서류가 다르니 꼭 해당 은행에 전화해서 확인 후 방문하시기를 추천합니다. 카드의 경우 인터넷에서도 신청 가능하니 편리한 방법을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바우처 적립금 및 제공기관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시/군/구청장으로부터 서비스 대상자로 결정 및 통보를 받고, 국민행복카드도 발급받으시면 이제 바우처를 사용하실 수 있는데요. 바우처 생성확인은 전자바우처 시트템(www.socialservice.or.kr)에서 바우처 적립금 및 제공기관을 확인하실수 있어요.
바우처 적립금은 언제 생성되고 언제 소멸되나요?
매월 말일 22시에 생성되며, 생성된 바우처 적립금은 다음날 부터 사용가능합니다. 생성된 바우처는 해당월의 다음달까지는 이월되어 결제가 가능해요. 예를 들어 2020년 1월 31일에 생성된 2월 바우처는 이월되어 2020년 3월 31일 24시까지 결제가 가능합니다.
해당월의 다음달 이후에는 소멸되어서 바우처 결제가 불가능 하니 꼭 기간안에 모두 사용하셔야 합니다.
단, 해가 넘아가면 바우처 남은 적립금이 모두 소멸하니 꼭 매년 12월 31일까지는 사용하셔야 해요. ~!!!!
바우처 결제는 언제하면 되나요?
바우처 카드 결제일은 반드시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받을 때마다 (회당) 결제하셔야 합니다. 서비스 결제 시간도 매우 중요한데요 ~!! 서비스이용을 시작하기 30분 이전부터 당일내에 결제가능합니다. 서비스는 1일 1회 가능하지만 정서발달서비스 등의 사업에 따라 당일 결제횟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선결제를 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되며, 결제를 했을 경우 부정행위로 간주되어 해당금액을 전부 회수하니 반드시 유의하셔야 합니다. ㅠㅠ
'사회 경영 경제 > 경영 및 사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기능식품 판매업 신고증을 받는 방법 (0) | 2021.08.18 |
---|---|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 방법 (0) | 2021.07.26 |
창업시에 고려해야할 문제들 (0) | 2020.11.08 |
사회적 협동조합이란? (0) | 2020.09.30 |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0) | 2020.09.29 |
댓글